repository 생성
2가지 방법
1. 원격저장소 만들고 복제해서 로컬 저장소 만들고 작업하기
2. 로컬에서 작업하고 원격저장소로 올리기
1방법
주소 카피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Dahyeonnnnn/gitfth.git . //맨 뒤의 점은 현재 디렉토리라는 의미
2방법
로컬 작업 생성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Dahyeonnnnn/gitfth.git
현재 로컬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연결 시킨다. '원격 저장소의 주소는 이것이다'라고 깃에게 알려준다.
주소는 origin이라는 별명을 부여하겠다. 기본 원격 저장소를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사용 한다.
git remote, git remote -v로 확인한다.
git push -u origin master
로컬 저장소를 기준으로 원격저장소로 나의 작업을 보낼 때 push한다고 표현한다.
현재 로컬저장소 브랜치를 origin의 주소의 저장소의 마스터 브랜치로 push한다.
-u는 한번만 사용하면 이후 git push만 사용 가능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lab 시작하기-프로젝트 생성, 저장소 연동, etc (0) | 2022.12.08 |
---|---|
git이란? (0) | 2022.12.08 |
github - fork (0) | 2022.06.30 |
git 기초학습 (0) | 2022.06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