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파라미터(Parameter)
-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할때 함께 전달하는 값이다
- 필요한 파라미터를 URL뒤에 “?no=1”과 같은 형태로 추가해서 호출한다
파라미터 수집과 변환
- 파라미터는 타입에 따라 기초자료형 또는 참조자료형으로 자동으로 변환된다
예시
“?no=1” -> int no
“?name=둘리&age=10” -> String name, int age
파라미터 어노테이션 종류
@RequestParam : 파라미터를 기초자료형 또는 문자열로 변환한다
@RequestBody : 파라미터를 참조자료형으로 변환한다
예시
public String test01 ( @RequestParam int no )
public String test02 ( @RequestBody Person person )
@RequestParam
- 파라미터를 기초자료형, 문자열, 기초자료형 배열로 변환한다
@RequestBody
- 파라미터를 참조자료형(클래스)로 변환한다
Json은 데이터구조이며, key, value 쌍으로 구성된다
Jackson 라이브러리
- 파라미터로 받은 JSON형태의 데이터를 자바 클래스로 변환한다.
->스프링부트 스타터 web그룹에 포함되어서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음
- 모델 전달자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
Model객체
- 컨트롤러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JSP(뷰)에 전달한다.
- 모델객체를 사용하려면 매개변수에 선언을 해야한다.
- mvc 동작과정
- RedirectAttribute 객체
화면에 일회성 데이터를 전달한다. (수정, 삭제 처리 결과)
'WEB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젝트 구성 (0) | 2022.12.09 |
---|---|
컨트롤러의 리턴타입과 예외처리 (0) | 2022.12.09 |
Controller-GET, POST, DELETE, PUT (0) | 2022.12.08 |
MVC 패턴 (0) | 2022.12.08 |
의존성 주입(DI)과 어노테이션 (0) | 2022.1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