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WEB/Spring

service 만들기

Service란 무엇일까?
- 리파지토리에서 받은 데이터 처리결과를 가공한다.
- 고객의 요구사항을 반영한다.


Service 동작 순서
1. Controller가 Service를 호출한다.
2. 서비스가 리파지토리에게 데이터 처리를 요청한다.
3. 경우에따라 특수한 비즈니스로직을 수행한다.
4. 리파지토리에서 받은 처리결과를 가공하여 컨트롤러에게 전달한다.

 

클래스 의존관계

• 서비스 로직을 고민중인 상황으로 가정하여, 서비스를 변경하기 편리한 구조로 설계
• 인터페이스와 구현체로 구조를 구성하고, 상황에따라 구현클래스를 변경함
• 서비스를 사용하는 쪽은 인터페이스를 이용
• 이와같은 구조로 설계하면, 서비스 코드가 변경이되어도 서비스를 사용하는 쪽의 코드는 변경이 없음

 

인퍼페이스

• 데이터 등록, 조회, 수정, 삭제 메소드 만들기

 

구현클래스

• Service 인터페이스를 상속받는다
• 등록, 조회, 수정, 삭제 메소드를 구현한다.
• 리파지토리를 사용하여 데이터를 처리하고 그 결과를 가공하고, 필요한 경우 특별한 비즈니스를 추가한다.

 

'WEB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ntroller 만들기  (0) 2022.12.09
repository 만들기  (0) 2022.12.09
프로젝트 구성  (0) 2022.12.09
컨트롤러의 리턴타입과 예외처리  (0) 2022.12.09
컨트롤러의 파라미터 수집  (0) 2022.12.08